|
이번 현지활동은 청년층 유출, 지역산업 위축, 학령인구 감소 등 복합적인 구조적 위기에 대응해, 지방대학이 지역 회복과 지속가능성 확보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정책적 뒷받침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현지활동 첫 일정으로 방문한 순천대학교에서는 글로컬 대학 및 라이즈 사업 추진 현황과 함께, 그린스마트팜·애니메이션·우주항공 등 특화 교육과정을 청취하고, 지역사회 연계 일자리 창출, 청년 유입, 교육자치 기반 확대 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또한, 그린스마트팜 등 공동실험실습관을 방문해 시뮬레이터 등 최신 교육 인프라를 점검하고 맞춤형 실습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살폈다.
강문성 위원장은 “경쟁력 있는 지방대학은 지역의 핵심 성장동력”이라며 “청년이 지역에 머물 수 있도록 지자체·기업·대학이 함께 참여하는 산학협력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영균 부위원장은 “사범대학 부속중학교 설립을 통해 예비교원 양성과 지역 교육역량을 강화하고, 전라남특별자치도 특별법과 연계된 교육자치권 확보에 순천대가 중심 역할을 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둘째 날 순천제일대학교에서는 AI 기반 스마트 제조 혁신 선도 글로벌 지역특화 인재양성 현황과 평생교육허브센터 등 라이즈사업 추진현황을 점검하고, 전문대학의 산업 밀착형 교육체계와 산학협력 성과를 중점 논의했다.
위원들은 “전문대학은 농식품·관광·중소기업 등 지역산업과 연계된 현장인재 양성의 플랫폼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전남형 산업교육 모델의 지속적인 확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방문한 청암대학교에서는 지역 수요에 기반한 보건·복지·웰니스 분야 특화 학과와 치유·힐링 중심의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대학 운영 현황을 살폈다. 위원들은 “청암대는 간호·보건계열 중심의 실용인재를 꾸준히 양성해온 지역밀착형 교육기관으로, 삶의 질 향상과 지역 정주 기반 마련에 실질적인 기여를 해왔다”며, 전문대학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획행정위원회는 이번 현지활동을 통해 지방대학의 혁신과 지역사회 상생 구조 마련을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강문성 위원장은 “지방대학 없이는 지방도 없다는 인식 아래, 도의회가 지역대학의 지속가능한 발전 생태계 조성을 뒷받침하겠다”며 “앞으로도 대학, 지자체, 산업계가 긴밀히 협력해 청년이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고 정착할 수 있는 실질적인 기반을 만들고, 지역에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종수 기자 0801thebette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