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의회 지방하천 연구회, 여좌천・창원천 등 하천 복원 사례 답사 여좌천・창원천 방문…하천 복원과 도시녹지 연계 모델 직접 확인 박종수 기자 0801thebetter@naver.com |
2025년 08월 11일(월) 13:20 |
|
이번 활동은 하천·녹지·도시공간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도시 생태계 회복 등 블루그린 네트워크 모델을 직접 확인하고, 이를 여수시 정책에 접목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추진됐다.
여수시의회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연구회’와 공동으로 활동했으며, 창원특례시의회 ‘기후위기·그린뉴딜 정책 연구회’와 교류 간담회도 함께 열어, 의회 간 정책 교류 및 협업 체계를 강화했다.
연구회는 창원 진해구의 ‘여좌천’과 의창구의 ‘창원천’을 찾아 하천 복원과 시민 친화적 친수공간 조성 현장을 직접 살펴봤다.
특히, 창원천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총 295억 원이 투입된 생태하천 조성사업을 통해 수질 개선과 생물 서식지 복원에 성공했으며, 2024년 10월 국가하천으로 승격된 대표적인 복원 사례다.
현장에서는 ▲국가하천 승격 요건 ▲오수 분리율 개선 전략 ▲하천 수질 향상을 위한 행정·시민 협력 구조 등 실무 중심의 논의가 활발히 이뤄졌으며, 창원시 관계자는 “생활오수 분리 사업과 시민 모니터링단 운영을 병행해 하천 관리 체계화를 확립했다”고 설명했다.
또 연구회는 수해 예방 정책의 실효성 점검을 위해 여수시 연등천 재해예방사업 현장도 방문했다.
총 사업비 389억 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2027년까지 둔덕저류지 신설을 통해 12%의 홍수량 저감 효과를 목표로 추진 중이며, 현장에서는 ▲공정률 ▲토사 반출 지연 문제 ▲침수 방지 설계의 적정성 등에 대한 기술적 쟁점도 점검했다.
진명숙 대표의원은 “하천 복원은 단순한 정비 사업이 아니라, 재해 예방, 생태 복원, 도시 재생을 포괄하는 통합 정책”이라며, “이번 현장활동을 바탕으로 여수의 자연과 도시 구조에 적합한 블루그린 네트워크 전략을 수립해 정책화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방하천 블루그린 네트워크 조성 연구회는 진명숙 대표의원을 비롯해 박성미, 이미경, 정신출, 김채경 의원 5명으로 구성됐으며, 지역 하천을 중심으로 한 생태 기반 정책 발굴을 목표로 올해 말까지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박종수 기자 0801thebetter@naver.com